카테고리 없음

유치원 교사의 교사효능감

@*@!))$ 2021. 12. 16. 15:10

유치원 교사의 교사효능감

 

효능감은 개인이 삶을 살아가는 데 많은 영향을 미친다. 교사효능감 또한 유치원 현장에서 유아교육의 질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사례를 통해 교사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교사효능감이 높은 교사의 특징, 이를 향상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알아보자.

 

먼저 교사효능감의 개념은 교사 자신이 교육 활동으로 유아의 성취 및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다고 믿는 정도이다. 교사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연수다. 교사는 꾸준히 교사 연수를 받으면서 교수학습 방법도 개선시킬 수 있고, 수업에 대한 유능감도 갖게 된다. 둘째, 성공의 경험이다. 성공 경험이 쌓이면 향후 교육 계획도 자신있게 세울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셋째, 동료 교사의 격려이다. 동료 교사의 격려 및 지지는 서 교사에게 앞으로 어떤 어려움이 닥치더라도 헤쳐나갈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질 수 있게 해 준다.

 

우선 교사효능감이 낮은 교사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자. 첫째, 가르치는 일에 대해 좌절감을 느낀다. 이는 교수 행위에 대한 적절한 지식이나 기술이 없기에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이 없다는 생각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둘째, 학습에 대한 책임감 및 교사 역할에 대한 기대 수준이 낮다. 교사는 유아의 학습 정도는 부모에게 달려있고, 교사의 역할에는 한계가 있다고 생각한다. 셋째, 적절한 의사소통 및 놀이개입 방법에 대한 기술이 부족하다. 상호작용할 때에 직접적인 지시나 통제를 사용하여 유아들은 오히려 놀이를 방해받고 회피하 된다. 넷째, 문제 상황 발생 시 회피하려는 태도이다. 어려움이 닥치면 해결하려기 보다 자신이 할 수 없는 일이라 생각하여 스트레스만 받고 정서적 소진만 일어난다.

 

반대로 교사효능감이 높은 교사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르치는 일에 대해 가치 있는 일이라 여긴다. 유아들을 가르친다는 것을 그냥 돌보는 것이 아닌 매우 의미 있는 일이며, 자신이 아이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한다. 둘째, 유아들의 학습에 대한 책임감을 가지고, 실패 시 좀 더 나은 교수학습 방법을 찾기 위해 스스로 연구하고 노력한다. 셋째, 유아의 문제행동 발생 시 이를 수정하기 위한 방법을 찾고 적극적으로 실천하며 유아에 대한 믿음을 잃지 않는다. 넷째, 어려움 발생 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각도로 방법을 찾는다. 무기력하게 비판만 하기보다는 문제 해결을 위해 항상 노력한다.

 

그렇다면 교사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일까? 교사 차원에서는 첫째, 배움공동체 참여이다. 동료 교사와 어려움을 공유하며 정서적 지지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교사연수에 참여한다. 교실 현장에서 교사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한 전문적 지식과 기술 함양 등을 도울 수 있다. 조직 차원에서는 교사를 유치원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교사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는 개방적이고 수용적인 조직 문화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이처럼 교사효능감은 교사 개인의 노력과 조직의 지원이 함께 이루어져야 향상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교사효능감이 높은 교사는 아이들에게 직접적으로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이를 위해 교사 개인과 기관은 함께 노력해야 한다.